본문 바로가기

study

(4)
입출력 방식 쉽게 이해하기! Programmed I/O vs Interrupt I/O 컴퓨터 시스템에서 입출력(I/O) 은 CPU와 장치 간의 데이터 교환을 의미합니다.이 입출력 작업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시스템의 효율이 달라지는데, 대표적인 방식으로 Programmed I/O와 Interrupt I/O가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이 두 방식을 간단하게 정리하고,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. 1. Programmed I/O란?Programmed I/O는 CPU가 직접 입출력 장치에 명령을 보내고, 해당 작업이 끝날 때까지 CPU가 대기하는 방식입니다.별도의 복잡한 구조 없이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어, 작은 시스템이나 간단한 작업에 자주 사용됩니다.대기 시간: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CPU는 다른 일을 하지 못하고 기다림적용 분야: 단순 입출력 작업, 소규모 시스템2. Interrupt ..
[운영체제] 운영체제 수업 인트로 정리: 컴퓨터 구조와 OS의 만남 이번 포스팅부터는 본격적으로 운영체제 수업 내용을 정리해보려 합니다.사실 교수님께서 오늘까지 수업한 내용은 모두 인트로라고 하셨지만, 그 안에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들이 꽤 많았습니다.운영체제뿐 아니라 컴퓨터 구조도 함께 언급되며, 앞으로의 본격적인 학습을 위한 기반이 되는 내용들이라 기억에 남기고 싶어 포스팅합니다.폰 노이만 구조 다시 상기하기폰 노이만 구조는 컴퓨터 구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목에서 꼭 한 번쯤 들어봤을 이름일 겁니다. 이 구조에서는 오직 프로세싱 유닛만이 메인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.processing unit: 산술/논리 연산 장치(ALU), 프로세서 레지스터 포함control unit: 명령어 레지스터(IR), 프로그램 카운터(PC) 포함memo..
[운영체제] Three Main Features of Operating Systems 오늘은 'Operating Systems - Three Easy Pieces'라는 제목의 저희 교재에서가장 강조하는 OS의 세 가지 특성에 대해 orientation 삼아 간단히 소개드릴게요.교재는 이 세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top down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어요.앞으로 있을 포스팅 전에 미리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VirtualizationCPU VirtualizationOS의 세 가지 특성 중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. 간단히 사용자에게 illusion을 제공하는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. 또 single cpu가 많은 process를 동시에 수행하는 듯한 illusion이라고 할 수도 있다. Memory Virtualization메모리 가상화라고 하면 조금은 익수할 수도 있다. 제한된 크기의 ..
[운영체제] 운영체제는 왜 존재하고, 어떻게 발전해왔을까? 이번 학기에는 운영체제(OS) 수업을 수강 중인데요.사실 오늘이 중간고사 이틀 전입니다. 잠깐 머리도 식힐 겸,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해보려 합니다.앞으로 [운영체제] 관련 포스팅들은 종강 후에도 꼭 기억해두고 싶은 essential한 개념들 위주로 담아볼 예정이니, 저처럼 공부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된다면 정말 기쁠 것 같아요!운영체제는 '인터페이스'다“운영체제는 결국, 필요에 의해 덕지덕지 기능을 덧붙인 인터페이스이다.”— 경북대학교 김명석 교수님운영체제는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에서 동작하는 중간 관리자 역할을 합니다.컴퓨터는 사용자가 직접 하드웨어(특히 메모리나 I/O 장치)에 접근하는 것을 매우 위험하고 복잡하다고 생각합니다.그래서 OS가 대신 나서서 리소스를 로드하거나, I/O를 처리..